가치평가는 기업과 자산의 가치를 측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특히 공정가치 측정은 기업과 자산의 실질적인 가치를 평가하는 데에 중점을 둡니다.
이와 관련하여 금융감독원의 외부평가 업무 가이드라인(2009.6.)에서는 공정시장가치(Fair Market Value)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대상 자산에 충분한 지식을 가진 자발적인 매수자와 자발적인 매도자가 합의할 수 있는 거래 가격
즉, 가치평가는 "이용 가능한 정보를 활용하여 합리적으로 값을 결정하는 과정"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공정가치측정을 위한 다양한 가치평가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가치평가기법
K-IFRS 1113호는 공정가치 측정을 위한 체계를 제시하며, 가치 평가에 관련된 다양한 기준을 제공합니다. 이 기준은 기업의 공정가치를 평가하는 데에 중요한 가이드 역할을 하지만, 특정한 세부적인 평가 방법을 강제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이러한 지침을 바탕으로 다양한 상황에 맞게 합리적인 평가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시장접근법 (Market Approach)
시장접근법은 비슷한 자산, 부채, 사업 등에 대한 시장 거래에서 생성된 가격이나 다른 목적에 적합한 정보를 활용하여 가치를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접근법은 비교 가능한 대상들로부터 얻은 주가 수익률 (PER) 비율, 주가 매출액 (PSR) 비율, 또는 기업가치/EBITDA 비율과 같은 시장 배수를 사용하며, 선택하는 배수는 측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질적 및 양적 요소를 고려하여 기업의 가치를 예측합니다.
이는 비슷한 기업들의 시장 인식을 반영하며 공정한 가치 평가를 수립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2. 원가접근법 (Cost Approach)
원가접근법은 자산의 사용 능력을 대체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반영하는데 이는 현행대체원가라고 불리기도 하며, 시장 참여자의 관점에서 자산을 대체하는 데 필요한 원가를 기준으로 자산의 물리적 악화, 경제적인 변화 등을 고려하여 가치를 평가합니다.
이 접근법은 물질적인 자산이 많거나 청산 중인 기업의 가치 평가에 유용하며, 특히현행 대체원가법은 다른 자산과 함께 사용되거나 다른 자산 및 부채와 함께 사용하는 자산에 대한 가치 평가에 자주 사용됩니다.
3. 이익접근법 (Income Approach)
이익접근법은 기업의 예상된 미래 수익이나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가치를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미래의 금액을 현재 시장 기대에 반영하며, 현재가치기법, 옵션가격결정모형, 다기간초과이익법 등 다양한 가치 평가 기법을 포함합니다.
또한, 이익접근법은 안정적인 재무 성과를 보이는 기업의 가치 평가에 유용합니다.
이와 같이 가치 평가 기법은 기업의 공정가치를 평가하는 데에 중요한 도구로 활용됩니다.
비즈니스 가치 평가는 기업의 가치와 잠재력을 이해하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K-IFRS 1113호의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다양한 상황에 맞게 시장접근법, 원가접근법, 그리고 이익접근법을 선택하여 가치를 산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와 관련된 관련된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투자자와 기업 소유자들은 정보를 기반으로 한 결정을 내리는 데에 자신감을 갖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