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가치 접근법 또는 Market Multiple Method라고도 불리는 이 방법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재무적, 사업적으로 유사한 비교기업을 찾아내어 다른 기업들의 공시가격 정보를 활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기업의 재무 상황과 영업환경이 유사한 비교기업을 합리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면, 이 방법을 통해 가치 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목차 ]
상대가치평가의 기본개념
상대가치평가는 기업의 내재가치나 현금흐름 창출 능력을 직접 평가하는 방법이 아니라, 유사회사의 가치를 적용하여 평가대상 회사의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상대가치평가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비교 가능한 유사회사를 선정하고, 그들의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지표를 활용하여 가치배수(Multiple)를 얻어내는 것이 필요합니다.
1. 유사한 비교기업 선택
상대가치평가는 동일 시점을 기준으로 기업과 유사한 영업 및 재무 위험을 가진 비교기업을 선정하여 평가대상 회사를 비교하여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유사한 기업을 찾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비교 대상 유사기업은 평가대상 회사와 완전히 동일한 특성을 갖추기 어렵고, 비록 동일한 업종에 속해 있더라도 위험 수준, 성장률, 미래현금흐름 등이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2. 표준화된 가격(또는 비율) 활용
상대가치평가 방법은 특정 재무지표를 기준으로 비교 가능하고 표준화된 가격(또는 비율)을 활용합니다. 이러한 표준화된 가격은 주당순이익(EPS), 주당순자산(BPS), EBITDA 등 다양한 지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상대가치평가 방법의 종류
상대가치평가 방법에는 평가기업과 유사기업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PER, PSR과 같은 P-Multiple과 EV-EVITDA와 같은 EV-Multiple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ER(Price Earning Ratio) - 주당순이익비율: 주식의 현재 시장가격을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
PBR(Price Book value Ratio) - 주당순자산비율: 주식의 현재 시장가격을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로
PSR(Price Sales Ratio) - 주당매출비율: 주식의 현재 시장가격을 주당 매출로 나눈 비율
EV-EBITDA: 기업의 순이익 대비 기업가치를 측정하는 지표로, 기업의 운영 성과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상대가치평가모형의 장점과 주의사항
상대가치평가 방법은 핵심 구성요소의 요건을 충족하면 쉽고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현금흐름할인법에 비해 미래 성과 추정이 간단하며, 평가 결과를 이해하고 분석하기 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적용이 쉽고 단순한 방법으로 가치를 측정할 수 있지만 평가 방법이 단순한 만큼 평가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상대가치평가모형은 기업의 가치를 비교 분석을 통해 평가하는 간편한 방법이지만, 정확한 비교기업 선택과 표준화된 지표의 활용이 핵심이므로 선정과정에서 전문가적 판단 및 분석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