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2 기업가치평가, 유사기업의 선정 비상장 주식의 가치 평가는 매우 중요한 작업 중 하나로, 이를 위해 유사한 상장기업을 찾아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유사기업의 선정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를 살펴보겠습니다. [ 목차 ] 1. 사업의 유사성 비교 대상 회사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 중 하나는 사업의 유사성입니다. 평가대상 회사와 유사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제품의 속성, 제품별 구성비, 주요 시장 등을 고려하여 유사성을 평가합니다. 사업의 유사성을 판단할 때, 평가대상 회사와 유사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기업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대상 회사가 판매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와 동일한 제품 또는 서비스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을 찾는 것이 유용합니다. 또한, 각 기업의 전체 매출 중에서 평가대.. 2023. 9. 22. 현금흐름할인법(Discounted Cash Flow, DCF)과 법인세 현금흐름할인법(Discounted Cash Flow, DCF)과 법인세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금흐름할인법에서 법인세를 고려할 때, 중요한 점 중 하나는 현금흐름을 세후로 산정한다는 것입니다. 현금흐름할인법을 적용할 때는 법인세 비용을 어떻게 고려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1. 법인세의 적용 현금흐름할인법을 사용하여 미래의 현금흐름을 평가할 때에는 세후 현금흐름을 계산하고, 이러한 현금흐름에 대한 법인세를 영업이익을 기반으로 정확하게 산정합니다. 현금흐름할인법을 적용할 때에는 기업의 영업이익(EBIT)에 대한 법인세를 고려하며, 이 법인세는 손익계산서상에 기록되는 일반적인 법인세 비용과는 다르게 계산됩니다. 현금흐름에 초점이 맞추어지다 보니 현금흐름에 적용할 법인세는 일반적인 재.. 2023. 9. 21. 베타(Beta),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M) 베타는 주식 시장에서 투자자들이 특정 주식 또는 자산의 리스크와 수익을 평가할 때 참고하는 핵심적인 지표 중 하나입니다. 투자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베타(Beta)에 대한 개념과 활용방법, 그리고 활용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 베타(Beta)란 무엇인가요? 베타는 투자자산의 변동성 위험을 시장의 전반적인 변동과의 상관관계로 단순화시킨 위험 측정지표입니다. 베타는 주로 주식이나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베타 값이 1인경우: 이 자산은 시장과 동일한 움직임을 보입니다. 시장이 상승하면 이 자산도 상승하고, 시장이 하락하면 이 자산도 하락합니다. 베타 값이 1보다 큰 경우: 이 자산은 시장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집니다. 시장이 상승하면 이.. 2023. 9. 20. 상대가치평가, PER (주당순이익비율, Price Earnings Ratio) 투자 결정을 내릴 때 어떤 기업이 가치 있는 투자 대상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평가 도구가 필요합니다. 이에 대한 하나의 답으로 PER (Price Earnings Ratio)이라는 지표가 제시됩니다. PER은 주주 가치와 순이익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상대가치 평가 방법 중 기업의 가치를 분석하고 투자 결정을 내릴 때 비교적 쉽고 간단하게 적용될 수 있어 가장 널리 활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 목차 ] 1. P-Multiple의 개념 P-Multiple은 PER (Price Earnings Ratio), PBR (Price to Book Ratio), PSR (Price to Sales Ratio) 등과 같이 주가와 주당 순이익, 주당 순자산, 주당 매출액 등의 재무성과 지표를 직.. 2023. 9. 19. 상대가치평가, EV-Multiple EV-Multiple은 P-Multiple 과는 다르게 자기자본비용, 타인자본비용 및 자본구성비율 등 자본구조에 의한 기업가치 변동 효과를 반영하는 데 이전 포스팅에 설명드린 EBITDA를 이용하는 EV-EBITDA Multiple과 EBIT를 이용한 EV-EBIT Multiple 그리고 매출액을 이용한 EV-Revenue Multiple 이 있습니다. [ 목차 ] 1. EV-EBIT Multiple EBIT는 "Earnings Before Interest, Tax"의 약자로, 법인세 및 이자비용 차감 전 영업이익을 말하며, EV-EBIT Multiple는 유사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에 순차입금(Net debt)을 가산하고 비영업자산을 차감하여 계산된 기업 가치(EV)에 EBIT로 나눈 값으로 Multipl.. 2023. 9. 18. 상대가치평가, EV-EBITDA Multiple 주식 투자나 기업 가치 평가를 고려할 때, 가장 기본적인 질문 중 하나는 "이 기업은 얼마만큼 가치가 있는가?"입니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가치 평가 모델과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상대가치 평가 방법 중 EV-Multiple의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인 EV-EBITDA 비율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이 지표를 통해 기업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목차 ] EV-EBITDA 비율의 기본개념 대표적인 P-Multiple 중 하나인 PER은 비교 대상 유사기업의 PER을 관측하고, 평가 대상 기업의 주당순이익(EPS)을 이용하여 지분 상품 가격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기업 가치를 평가합니다. 그러나 PER을 사용한 평가 결과는 종종 비교 대상 유사 기업 또는 평가 대상 기업의.. 2023. 9. 17. 상대가치평가 (Market Multiple Method) 시장가치 접근법 또는 Market Multiple Method라고도 불리는 이 방법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재무적, 사업적으로 유사한 비교기업을 찾아내어 다른 기업들의 공시가격 정보를 활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기업의 재무 상황과 영업환경이 유사한 비교기업을 합리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면, 이 방법을 통해 가치 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목차 ] 상대가치평가의 기본개념 상대가치평가는 기업의 내재가치나 현금흐름 창출 능력을 직접 평가하는 방법이 아니라, 유사회사의 가치를 적용하여 평가대상 회사의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상대가치평가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비교 가능한 유사회사를 선정하고, 그들의 가치를 .. 2023. 9. 16. DCF가치평가, 비영업자산 비영업자산이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영업 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거나 영업 가치 창출에 기여하지 않는 자산을 말합니다. 그런데 왜 이러한 비영업자산의 가치를 기업 가치 평가과정에서 고려해야 할까요? [ 목차 ] 비영업자산의 가치 잉여 현금 흐름 추정 시 고려되지 않는 자산인 비영업자산은 유무형 자산이나 매출 채권, 재고 자산 등의 운전 자본을 제외한 자산을 포함합니다. 이들은 종종 '비핵심 자산'으로도 불립니다. 비영업자산의 예로는 초과보유 현금(excess cash), 투자유가증권, 유휴자산, 그리고 기타 투자자산 등이 있습니다. 영업가치는 잉여현금흐름의 현재가치로 나타내며, 잉여현금흐름 추정에 사용되는 현금흐름은 영업활동과 관련된 현금흐름으로 영업활동과 무관한 자산인 비영업자산에서 발생하는 현.. 2023. 9. 15. 이전 1 2 3 4 5 6 다음